부동산2020. 10. 18. 20:48

 

월곶~ 판교간 신설되는 월판선의 구축을 통하여 철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수도권 서남부권에 철도망을 확충하여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확대하고 일반철도로의 이용편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며, 수인선, 소사-원시선, 신안산선, 경강선 등과 연계하여 남북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동서 간선철도망 구축을 목적으로 함

 

- 월판선을 신설하면서 GTX의 연계성이 좋아지도록 하고 경기도내의 교통망을 원활히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환경영향평가 실시근거

◦ 본 사업은 「환경영향평가법」제22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31조 제2항 “[별표3]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구체적인 종류, 범위 및 협의요청시기” 중 「7. 철도(도시철도를 포함한)의 건설」 의 대상범위인 4.0㎞ 이상에 해당되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는 사업임

★ 철도(도시철도를 포함한다)의 건설사업

가.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 한 법률」 제2조제1호·제2호 또는 「국토 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조제6호 에 따른 철도 또는 고속철도의 건설사업 중 길이가 4킬로미터 이상이거나 철도시설 의 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다만, 「철도사업법」제2조제5호에 따른 전용철 도를 공장 안에 설치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11호에 따른 도시·군계획사업으 로 시행하는 경우: 같은법 제88조제2항 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 전

나) 그 밖의 사업으로 시행하는 경우: 「철 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제9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사 업 내 용

◦총연장: 40.178㎞(하선기준), 공용구간 10.280㎞ 포함 -시흥시: 7.227㎞, 광명시: 1.433㎞, 안양시: 9.728㎞, 의왕시: 5.209㎞, 성남시: 6.301㎞

◦정거장 9개소(신설 8개소, 개량 1개소) 주) 공용구간: 신안산선 9.800㎞, 경강선 0.480㎞

 

 

★ 사업의 내용

◦ 위 치: 경기도 시흥시, 광명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

- 시점: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일원

- 종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일원

◦ 사 업 기 간: 2021년 ~ 2025년

◦ 사 업 시 행 자: 국가철도공단

◦ 사업승인기관: 국토교통부

 

 

월곶-판교선은 1~10공구로 공사 진행이 되고요.

위치는 위표에 나온 것과 같습니다.

 

 

계획된 터널과 교량이고요.

향후에 월판선을 종점부터 종점까지 타고가면서 사업이 진행된 것을 구경해봐야겠어요.ㅎ

 

 

정거장 정보이고요.

안양정거장은 지하6층이네요.

엄청난 규모가 예상이 됩니다.

 

 

사업노선의 위치도입니다.

저 구간에 있는 곳도 항상 눈여겨 보아야 할 것 입니다.

(상승론자이지만 영원한 상승은 없다고 보는 사람이고 미리미리 공부하여 향후 진입타이밍이 왔을 때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하여 공부하고 있습니다.)

 

월곶-장곡-시흥시청-만안-안양-안양운동장-인덕원-청계-서판교-판교

인덕원은 참 ... 대단합니다.ㅋ

 

 


 

 

금번에 환경영향평가를 하게되는데요. 그것에 대한 정보들을 일단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운로드

Posted by 준제리
부동산2020. 9. 29. 04:05

귀인입니다.

 

오늘은 청약 정보가 아닌 철도사업과 관련된 이야기를 한번 해볼까 합니다.

어쩌면 디테일 할지도 모르겠고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해석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국가철도공단에서 확인한 월판선의 현재입니다.

 

 

현재 지반조사 용역이 발주가 되었습니다.

 

지반 조사용역이란, 지반을 구성하는 각증 토층과 지층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인데요.

시공을 하기 위해 진행하는 시공의 기초적 자료를 구하는 조사라고 보면 됩니다.

 

예비조사를 통해서 지층의 구성과 토질의 연경, 지하수위 자료를 입수하고 자료 입수 불가능한 항목에 대해서는 다양한 측정방법을 통해서 정보를 입수합니다.

그리고 본조사를 통해서 보링, 재하시험, 토질시험 (출처 : naver 지식백과) 을 통해 '지반의 구성', '지반의 성질', '지지력', '흙의 제성질', '연경', '지하수위', '수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월곶~판교 복선전철 (월판선)은 현재 지반조사 용역이 발주가 된 상태로 (2~10공구) 사업자가 정해지면 지반조사를 시행하게 될 것 입니다. 즉, 시공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는 조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보면되겠네요.

그리고 교통영향평가 용역도 발주가 되어서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주변의 교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인덕원~동탄을 잇는 복선전철인 인동선은 현재 공구별로 지하안전영향평가 용역이 발주되었습니다.

 

출처 : 한국건설안전기술

 

지하안전영향평가는 위와같은 절차를 통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자세한 것은 이곳을 참조 http://www.kocose.co.kr/assessment)

 

지하안전영향평가는 '지하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 에 따라 실시해야 하는 용역이라 합니다.

지반조사 용역과 맥락은 같아보이는데요. 

굴착깊이 20m 이상의 굴착공사이고요.

 

지반 및 지질현황 조사,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지반안전성에 대해서 평가는 하는 작업입니다.

인동선은 현재 어떤 과정을 거치고 있는가, 이 정도로만 살펴보실 것을 권합니다.^^

 

 

Posted by 준제리